본문 바로가기
비식품/주유소

세계 주유소 브랜드 그룹 11편 – 국영·지역 기반 브랜드 종합 분석

by 메타위버 2025. 8. 15.
반응형

세계 주유소 브랜드 그룹 11편 – 국영·지역 기반 브랜드(중국·일본·한국·인도) 종합 분석

글로벌 메이저 에너지 기업 외에도 각국의 국영·지역 기반 주유소 브랜드는 자국 시장에서 막강한 점유율과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인도의 주요 주유소 브랜드와 시장 전략, 친환경 전환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

 

국영·지역 기반 주유소 브랜드

 

1. 중국

  • Sinopec (중국석유화공) – 세계 최대 주유소망 보유 (~35,000개)
  • CNPC / PetroChina (중국석유천연가스) – 약 20,000개 주유소 운영

중국은 국영 에너지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며, 두 기업의 점유율이 70% 이상입니다. 최근 전기차(EV) 보급률 상승에 맞춰 충전소·수소 스테이션을 병행 운영하며, 2035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일본

  • ENEOS – 일본 최대 주유소 브랜드, 약 12,000개소 운영
  • Idemitsu Kosan – 약 6,000개 주유소, 합병을 통해 전국망 확대

일본은 인구 감소와 EV 보급 확대로 주유소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ENEOS와 Idemitsu는 태양광·수소 충전소, EV 충전 인프라 투자로 사업 다각화를 진행 중입니다.

 

3. 한국

  • SK Enmove (구 SK에너지) – 국내 최대 주유소망 (~3,500개)
  • GS Caltex – 약 2,500개 주유소 운영
  • Hyundai Oilbank – 약 2,000개 주유소 운영
  • S-OIL – 약 1,500개 주유소 운영

한국은 4대 정유사가 전국망을 구축하며 경쟁 중입니다. 각사는 친환경 연료(EV 충전, 수소충전소) 확대와 주유소 복합화(편의점·세차·정비 결합)를 통해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4. 인도

  • Indian Oil (IOCL) – 인도 최대 주유소망 (~35,000개)
  • Bharat Petroleum (BPCL) – 약 20,000개
  • Hindustan Petroleum (HPCL) – 약 15,000개

인도는 국영 기업 3사가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며, 천연가스(CNG)·LNG 충전소 확충과 전기차 인프라를 동시에 확대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E20 연료 정책’에 따라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 사용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높일 계획입니다.

 

5. 국가별 친환경 전환 현황 비교

국가 대표 브랜드 주유소 수 친환경 전략
중국 Sinopec, PetroChina 55,000+ EV 충전소, 수소 스테이션 확대
일본 ENEOS, Idemitsu 18,000+ 수소 충전소, 태양광 발전소
한국 SK Enmove, GS Caltex, Hyundai Oilbank, S-OIL 9,500+ EV·수소 충전, 복합 주유소 모델
인도 IOCL, BPCL, HPCL 70,000+ CNG·LNG 충전소, E20 바이오연료

 

 

Brand Power Ranking Report for Gas Stations | OPIS

Discover every aspect of retail fuel brand performance for traditional gas brands as well as hundreds of convenience store and retail chain brands.

www.opis.com

 

6. 결론

국영·지역 기반 주유소 브랜드는 글로벌 메이저와 달리 자국 내 절대적인 시장 지배력을 갖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따라 친환경 전환 속도가 빠릅니다. 특히 EV·수소 인프라와 바이오연료 개발은 향후 10년간 이들 기업의 경쟁력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